장인정신 녹아든 전통미
인천의 미술가들 - 김낙준
장인적 노고로 구현해 낸 전통미
이경모(인천대학교 겸임교수/미술평론가)
1990년대 중반 이후 김낙준은 한동안 작품 재료로 알루미늄, 동판 그리고 리벳을 이용하여 이전의 작품 보다 더욱 더 절제된 인간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그는 알루미늄판과 동판을 절단·절곡하여 붙일 때 용접의 단순함을 피하기 위하여 리벳을 이용함으로써 자칫 미니멀(minimal)해 보일 수 있는 작품에 변화를 유도하고 작가의 장인정신을 부각시킨다.
특히 알루미늄이라는 재료에서 오는 단조로움과 차가움 그리고 표면의 광택을 소거시키고자 샌드페이퍼, 페인트 그리고 샌드블래스터(sandblaster)를 이용하고, 작품 표면에는 동판과 페인트를 칠한 알루미늄을 붙여 장식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 점은 김낙준이 어떤 미술적 사조나 흐름에서 자유롭게 일탈(逸脫)하여 그 나름의 작업세계에 대한 확고한 신념으로 무장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는 일관되게 '인간'이라는 대상에 천착해 왔다.
최근 김낙준이 선호하는 솟대라는 한국 전통의 소재도 현대사회에서의 인간의 소외와 고독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적 수단으로 선택한 것이다.
그 솟대라는 대상은 우리 민족이 과거급제와 같은 경사가 있을 때 마을 어귀에 세워두던 상징물로써 매우 상서로운 징표이다.
그러나 그의 관심사는 이러한 의미보다는 잊혀져 가는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의 표명과 계몽이다.
아울러 면(面)에서 선(線)으로 옮아가는 그의 조형적 관심을 충족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대상이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기도 하다.
결국 큰 맥락에서 이번 전시회 역시 그간의 작업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그의 작품은 전통과 현대,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 단순성과 복잡성 등 여러 상충되는 개념들이 상호보완적으로 공존하는 독특한 질서체계를 보여준다.
주지하다시피 김낙준을 끊임없이 사유케 만든 형식언어가 점·선·면이다.
그간 그의 작업은 면을 주조(主調)로 한 내부형(內部形)과 구조형(構造形) 그리고 시각형(視覺形)의 문제를 다양한 매체와 기법, 색채를 사용하여 시각화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근자에 이르러 그는 형상언어를 면에서 선으로 바꾸어 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말하자면 그의 표현 이미지는 면에서 선으로 선에서 점으로 역행하는 셈이 된다.
이 때의 선은 대상의 윤곽선으로서의 선이라기보다는 형태를 내부로부터 규정할 뿐 아니라 선 자체로서 형태를 결정하는 대상으로서의 선이다.
말하자면 자코메티의 현대적 변용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김낙준은 작품제작에 있어 모델링보다는 절단, 절곡(折曲), 용접을 통하여 보다 다이나믹하고 자연스런 형태를 지향한다.
이 점은 철조각에 천착하는 대다수의 작가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는 통쇠를 이용함으로써 작품에 생경한 아름다움을 줄 뿐 아니라 철재가 지닌 고유한 색감마저도 차용하는 여유로움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이 최근에 이르러 그의 작품에서 가장 뚜렷이 간취(看取) 할 수 있는 변화의 조짐이다.
아울러 이전의 다채로운 형식언어들을 폐기하고 추상적이고 함축된 조형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그가 어떤 방식으로 선에서 점으로 전이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킨다.
인천신문 i-today@i-today.co.kr 2006-08-15
'김낙준 > 김낙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3 제11회 개인전 - 연수문화원 기획초대전 / 연수한마당 (0) | 2003.08.31 |
---|---|
2001 제7회 개인전 - 인사 갤러리기획전 / 평론가 이경모 (0) | 2003.07.20 |
2003 제10회 신세계 갤러리 기획초대전 - 경인일보 (0) | 2003.06.26 |